top of page

Artist Statement

나의 작업은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에서 출발해 주체와 타자의 관계, 그리고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과 불균형을 조각적 언어로 탐색해왔다. 초기에는 쉽게 훼손되거나 깨지기 쉬운 재료들을 다루며 공격적이고 긴장감 있는 형상을 만들어냈다. 흑연 또한 그 중 하나였다. 시각적으로는 금속처럼 강해 보이지만, 실은 외부의 작은 충격조차 표면에 고스란히 기록해내는 물질이다. 나는 이러한 모순된 성질을 지닌 재료들에 주목했고, 이중거울이나 반투명한 막과 함께 사용하여 내부와 외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관계를 드러내려 했다. 전시는 단순히 오브젝트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 안에서 서로의 심리적·물리적 역학관계를 드러내고 보이지 않는 구조와 암시를 만들어낼 수 있는 장치적 실험이라고 생각해왔다.

 

​그 이후 나는 조각을 도출하는 방식 자체에 의문을 품게 되었다. 어느 시기에는 몰드에 관심을 두면서 그것을 단순한 제작 도구가 아니라 조각적 대상으로 바라볼 수 있는지 실험했다. 동시에 일상의 도구나 물체들에서 몰드와 닮아 있는 흔적과 인상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런 경험들은 조각이 반드시 새롭게 ‘만들어져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사물들을 어떻게 ‘놓을 것인가’라는 질문 속에서도 조각의 의미를 탐색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태도는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닮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나에게 와닿는 지점은 제도적 전복이나 비판이 아니라, 사물의 놓임이 남기는 긴장과 흔적, 그리고 그로부터 발생하는 조각의 새로움이었다. 나에게 몰드에 대한 관심은 조각을 ‘만드는 것’에서 ‘놓이는 것’으로 전환하게 한 중요한 다리였으며, 지금도 여전히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나의 작업은 반복적 양산보다는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오가며 조각적 언어를 확장해왔다. 사진, 영상, 디지털 시뮬레이션은 단순한 보조 수단이 아니라, 조각적 사유가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공간으로 다가왔다. 어떤 작가들은 하나의 재료나 형식을 깊이 탐구하며 언어를 발전시켜 나가고, 나는 여러 매체와 방식을 넘나들며 조각의 가능성을 실험한다. 겉으로는 일정한 형식적 일관성이 부족해 보일 수 있지만, 그 다양성 속에는 언제나 공통된 조각적 문제의식이 흐르고 있다. 나는 그것을 작업의 또 다른 층위의 일관성으로 바라본다. 이러한 태도는 조각이 동시대의 맥락 속에서 새롭게 발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탐구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나의 작업은 개인적인 태도나 가치관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려 하지는 않는다. 그것들은 작업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배어나올 수 있으며, 때로는 작품 속에서 은연중에 기능하기도 한다. 나는 조각이 반드시 특정한 메시지를 강요하거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관점에 동의하지 않는다. 나에게 중요한 것은 조각이 물질과 공간, 관계 속에서 드러내는 긴장과 암시이며, 그것이 관객의 경험과 감각 속에서 다시 사유될 수 있는 여백을 열어두는 일이다. ​

 

따라서 나의 조각적 관심은 전통적 조형 언어의 탐구에서 출발해, 몰드와 흔적, 놓임과 관계, 그리고 매체의 확장을 거치며 지금도 방향을 찾아가고 있다. 조각이 단일한 장르나 기법에 머무르지 않고, 시대와 맥락 속에서 유기적으로 진화하는 살아있는 언어로 남아 있기를 희망한다.

My work begins with personal experiences and memorie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 and the tensions and imbalances that arise between them through a sculptural language. In the early stages, I worked with fragile materials that were easily damaged or broken, creating forms that conveyed aggression and tension. Graphite was one such material. While it appears visually solid like metal, it is in fact a substance that registers even the slightest external impact on its surface. I was drawn to these contradictory qualities, and by using two-way mirrors and translucent membranes, I sought to reveal the interplay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For me, an exhibition has never been about simply arranging objects, but about constructing an experimental device within space—one that disclos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dynamics and generates unseen structures and subtle suggestions.

Over time, I began to question the very process by which sculpture is produced. At one stage, I turned my attention to molds, experimenting with how they might be regarded not merely as tools of fabrication but as sculptural objects in themselves. At the same time, I discovered mold-like impressions and traces within everyday tools and objects. These encounters led me to realize that sculptur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something newly “made,” but can also be found in the question of how existing things are “placed.” Such an attitude may recall Duchamp’s readymade, yet what resonates with me is not institutional critique or subversion, but rather the tension and traces left by the placement of things, and the new sculptural possibilities that arise from them. My interest in molds thus became a bridge, shifting my perspective from making sculpture to considering its placement—an approach I continue to explore.

Within this trajectory, my work has evolved not through repetitive production but through an expansion of sculptural language across diverse media and methods. Photography, video, and digital simulations have approached me not as mere auxiliary tools but as alternative spaces where sculptural thinking can unfold. Some artists deepen their practice by concentrating on a single material or form, while I have found it more natural to move fluidly across different media and approaches, experimenting with the possibilities of sculpture. This may give my work an appearance of lacking formal uniformity, yet within such diversity runs a consistent sculptural inquiry. I regard that persistent concern as another layer of continuity in my practice. Such an attitude, to me, is less a declaration than an ongoing process of carefully exploring how sculpture may speak anew within the contemporary context.

My work does not aim to directly assert personal attitudes or values. These may emerge naturally within the process, at times functioning subtly within the work. I do not believe sculpture must impose a fixed message or serve a predetermined social role. What matters to me is the tension and suggestion that sculpture reveals through material, space, and relation—and the openness it creates for the viewer to think and perceive anew within their own experience.

Thus, my sculptural inquiry began with the exploration of traditional formal languages and has since moved through molds and traces, placement and relation, and the expansion into diverse media—continuing even now to search for direction. I hope that sculpture may remain not as a fixed genre or static technique, but as a living language that changes organically with its time and context.

​​​​

Chongbin Park

Born in Seoul, Korea

Lives & works in Seoul

​​

Education

2004 - 2006   MA Sculpture, Royal College of Art, London, UK

1999 - 2001   MFA Sculpture,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993 - 1999   BFA  Sculpture,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Solo Exhibitions

2011   into the membrane, Arario Gallery, Seoul, Korea

2007   Inside Outside, Corn Exchange Gallery, Edinburgh, U.K

​​Selected Exhibitions

2011   Do Not Trust Artist, Space K, Gwangju, Korea

2008   Sculpture Spoken Here, Dukwon Gallery, Seoul, Korea

2008   Busan Biennale - Contemporary Art Exhibition, Busan, Korea

2007   4482, King’s Park Studio, Surrey, U.K.

2007   Arts Unwrapped, ASC Streatham, London, U.K.

2005   Dyscotopiary, Hockney Gallery, RCA, London, U.K.

2005   Now & Here, Chinese Contemporary Gallery, London, U.K.

Awards

2011   Kim Se jung Sculptor Award for Young Artist

Collection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cheon, Korea

Ediya Coffee Lab, Seoul, Korea

Arario Gallery, Seoul, Korea

David Roberts, London, UK

Aine Duffy, London, UK

Navy Blue, Edinburgh, UK

IMG_7614_edited.jpg
ⓒ 2025  Chongbin Park 
bottom of page